|
□ 조사 필요성 및 의의
◦ 이주노동자와 국제결혼 외국인이 급증함에 따라 ‘다문화’가 사회의 주요한 정책의제로 제기 - 2007년 4월 기준 국내 거주 외국인은 모두 722,686명(90일 이상 장기체류자에 한함, 행안부 자료)으로, 주민등록 인구의 1.5%를 차지(전년대비 35% 증가) - 2007년 8월 법무부는 국내체류 외국인 100만명 시대라고 천명(90일 미만 이하 체류자 포함)
◦ 이주민의 인권, 이주노동자의 노동환경 등의 문제에서 점차 ‘다문화’와 문화적 영역으로 정책적 관심이 확대 - 2007년 문화체육관광부 다문화정책팀 구성 등 ‘다문화’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과 문화적 권리를 보장하는 정책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음.
◦ 이주민의 문화적 권리와 다문화정책의 효과적인 추진을 위해 이주민의 문화적 욕구, 문화생활 등의 요구사항을 종합적이고 객관적으로 파악할 필요성 제기 - 현재까지 이주민 대상 문화관련 통계조사는 수행된 바 없으며, 이주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심층면접 방법을 통해 진행되었음.
◦ 조사결과 활용 - 이주민의 문화관련 최초 통계조사를 실시함으로써, 다문화사회 문화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 |
□ 조사 개요
1. 조 사 명 :『2008 이주민문화향수실태조사』 2. 조사기간 : 2008년 4월 7일 ~ 5월 18일 3. 자료수집방법 :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면접 4. 조사대상 : 전국 20세 이상 이주노동자 및 결혼이주민 5. 표집방법 : 지역(수도권과 비수도권, 도시와 농촌), 이주유형(이주노동, 결혼이주), 성별, 출신국별 비례할당 6. 표본구성 및 크기 : 총 825명 (새터민 102명 별도조사) - 남성 439(53.2%), 여성 386(46.8%) - 수도권[서울, 인천, 경기] 536(65.0%), 비수도권 289(35.0%) - 도시지역 749(90.8%), 농촌지역 76(9.2%) - 이주노동 560(68.0%), 결혼이주 264(32.0%), 무응답 1(0.6%) - 중국 444(53.8%; ①조선족 297[36.0%], ②비조선족 147[17.8%]), 베트남 114(13.8%), 필리핀 76(9.2%), 태국 71(8.6%), 몽골 44(5.3%), 기타 76(9.2%) 7. 조사문항 : 여가, 예술향유, (공공)문화시설, 여행, 대중매체, 문화 및 여가정보, 한국어 교육, 문화교육, 역사유적 및 지역축제, 이주민 정체성, 이주민 차별, 요구사항 등 38개 문항 8. 조사기관 : 한국문화관광연구원(설문지 작성), 리서치알앤에이(설문조사)
9. 조사결과 분석 : 독립변인에 따른 교차분석 및 평균분석 - 독립변인 성(남, 여) 지역 1 (수도권[서울, 인천, 경기], 비수도권)* 지역 2 (도시, 농촌) 이주유형(이주노동, 결혼이주) 출신모국(조선족 중국, 비조선족 중국, 베트남, 필리핀, 태국, 몽골, 기타)** 연령(20대, 30대, 40대, 50세 이상) 동거인(한국인 가족, 한국인 친구 및 동료, 모국인 친구 및 동료, 다른 외국인 친구 및 동료, 혼자, 기타) 체류기간(1년 미만, 1-2년미만, 2-3년미만, 3-4년미만, 4년 이상) 한국어능력(상, 중, 하/못함) 직업(생산직, 일용건설직, 판매 및 서비스직, 주부, 무직, 기타) 학력(초졸이하, 중졸, 고졸, 대재 이상) 월 가구소득(50만원 미만, 50-100만원 미만, 100-150만원 미만, 150-200만원 미만, 200만원 이상)
* 수도권은 서울, 인천, 경기를 의미함. ** 중국출신을 ‘조선족’과 ‘비조선족’으로 구분한 바, 아래의 내용과 <표>에서 ‘비조선족’은 중국의 비조선족 이주민을, ‘조선족’은 중국의 조선족 이주민을 의미함. |
□ 주요 결과
1. 문화예술 향유
1) 관람하고 싶은 예술행사
◦ 이주민들이 가장 보고 싶어 하는 문화예술행사는 모국의 영화(25.0%)와 모국의 대중예술행사[가요, 연예, 쇼, 공개방송](22.8%)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. 그 다음으로는 한국영화(15.4%), 모국의 공연[연극, 음악, 무용 등](11.2%), 한국의 대중예술행사(10.3%), 관심 없음(9.8%), 한국공연(4.6%) 모국의 미술전시회(0.6%), 한국 미술전시회(0.4%)의 순서로 나타났다.
- 모국의 대중문화[영화, 대중예술]에 대한 욕구가 과반(47.8%)에 가까웠다.
[그림 1-1] 관람하고 싶은 예술행사
◦ 관람하고 싶은 문화예술행사에 대한 응답자 속성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다.
①모국의 영화 : 비수도권(41.9%) > 수도권(15.9%), 농촌(50.0%) > 도시(22.4%), 20대(33.7%), 모국인 친구 동거자(34.3%), 비조선족 중국(34.7%), 필리핀(36.8%) |
②모국의 대중예술행사 : 남성(26.0%) > 여성(19.2%), 비수도권(31.5%) > 수도권(18.1%), 농촌(30.3%) > 도시(22.0%), 이주노동(24.6%) > 결혼이주(18.9%), 필리핀(38.2%), 태국(39.4%), 소득 50-100만원(31.8%), 100-150만원(27.0%) |
③한국 영화 : 수도권(21.8%) > 비수도권(3.5%), 도시(17.0%) > 농촌(0.0%), 거주기간 2-3년(23.5%), 몽골(40.9%), 소득 150-200만원(28.5%) |
④모국의 공연 : 수도권(13.8%) > 비수도권(6.2%), 결혼이주(14.8%) > 이주노동(9.5%), 가족 동거자(15.4%), 200만원 이상(16.9%) |
⑤한국의 대중예술행사 : 수도권(13.4%) > 비수도권(4.5%), 도시(11.2%) > 농촌(1.3%), 40대(16.8%), 50세 이상(24.8%), 혼자 거주(15.6%), 거주기간 3-4년(14.8%), 조선족 중국(18.2%), 태국(12.7%) |
⑥관심 없음 : 50세 이상(15.2%), 거주기간 4년 이상(15.4%), 비조선족 중국(15.6%) |
◦ 이주민이 가장 보고 싶어 하는 예술행사가 영화와 대중예술(연예, 쇼, 가요) 같은 대중문화였는데, 이것은 내국인의 문화예술 향유 욕구와 크게 다르지 않다.
<표 1-1> 관람하고 싶은 예술행사
이주민 |
백분율 |
내국인 |
백분율 | |
1순위 |
모국 영화 |
25.0% |
영화 |
39.2% |
2순위 |
모국 대중예술 |
22.8% |
대중예술 |
24.1% |
3순위 |
한국 영화 |
15.4% |
연극 |
15.0% |
4순위 |
모국 공연 |
11.25 |
전통공연 |
7.1% |
5순위 |
한국 대중예술 |
10.5% |
클래식 음악 |
5.9% |
6순위 |
관심 없음 |
9.8% |
미술 |
6.2% |
7순위 |
한국 공연 |
4.6% |
무용 |
2.6% |
8순위 |
모국 미술 |
0.6% | ||
9순위 |
한국 미술 |
0.4% |
* 내국인자료: 문화체육관광부/한국문화관광연구원, 「2006 문화향수실태조사」 재가공
2) 모국 관련 예술행사 관람
◦ 한국이주 이후 현재까지 이주민의 모국을 소개하거나 모국출신 예술인이 참여하는 예술행사 관람경험은 9.3%였다.
- 분야별로는 영화 8.2%, 공연 2.7%, 대중예술 1.0%, 미술전시회 0.8%였다.
[그림 1-2] 이주민의 모국관련 예술행사 관람률
◦ 모국관련 예술행사 관람률은 여성과 거주기간이 길수록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.
▪성별 : 여성(12.7%) > 남성(7.3%), ▪거주기간별 : 1년 미만(5.6%), 1-2년(4.0%) 2-3년(10.0%), 3-4년(9.2%), 4년 이상(18.5%) ▪출신국별 : 비조선족 중국(10.9%) > 베트남(9.6%) > 태국(8.4%) > 필리핀(7.9%) > 조선족 중국(7.7%) > 몽골(4.5%) |
3) 대중매체를 통한 모국 문화예술 향유
◦ 한국이주 이후 현재까지 대중매체를 통한 모국 문화예술 향유경험은 56.2%였다.
◦ TV를 통한 경우는 45.3%, 비디오를 통한 경우는 13.0%, 라디오를 통한 경우는 7.5%,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경우는 17.9%였다.
[그림 1-3] 대중매체를 통한 모국 문화예술 향유
◦ 대중매체를 통한 모국의 문화예술 향유경험은 여성, 결혼이주자, 가족 거주자(91.5%), 4년 이상 거주자, 한국어 능력 상급자, 조선족 중국, 200만원이상 고소득층에서 많았다.
▪성별 : 여성(79.4%) > 남성(64.6%) ▪이주형태별 : 결혼이주(97.1%) > 이주노동(66.4%) ▪한국어능력별 : 한국어 능력 상급자(78.7%) > 중급자(67.5%) > 하급자/못함(44.2%), ▪출신국별 : 조선족 중국(87.3%) > 비조선족 중국(64.5%) > 태국(59.0%) > 필리핀(42.7%) > 베트남(30.3%) > 몽골(22.8%), ▪소득수준별 : 200만원 이상(89.3%), 150-200만원(75.6%), 100-150만원(61.1%), 50-100만원(75.9%), 50만원미만(53.7%) |
4) 한국 내 모국의 문화향유 여건
◦ “한국에서는 모국의 문화를 즐길만한 곳이 많다”는 견해에 대해서는 ‘그렇지 않다’는 응답이 61.0%(전혀 그렇지 않다 20.9%+거의 그렇지 않다 40.1%)로 ‘그렇다’는 응답(11.4%; 매우 그렇다 1.1%+약간 그렇다 10.3%)보다 훨씬 많았다. 한편, ‘보통이다’는 응답은 27.6%였으며, 이를 5점 만점[매우 많다]로 환산하면 평균 2.30점으로 보통(3점)보다 훨씬 낮았다.
[그림 1-4] 한국 내 모국의 문화향유 여건 만족도
◦ 한국 내 모국의 문화향유 여건에 대한 의견을 응답자 속성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.
- 전체적으로 보통(3점) 이하의 의견을 제시하였고, 응답자 속성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.
▪비수도권(2.47점) > 수도권(2.21점) ▪농촌(2.53점) > 도시(2.28점) ▪성별 : 여성(2.38점) > 남성(2.23점) ▪출신국별 : 태국(2.55점) > 비조선족 중국(2.49점) > 조선족 중국(2.26점) > 베트남(2.15점) > 몽골(2.11점) > 필리핀(2.08점) |
2. 문화교육
1) 참여하고 싶은 문화교육
◦ 한국에서 가장 참여하고 싶은 문화교육은 생활문화[전통예절, 음식, 요리 등](24.3%), 생활취미[공예, 종이접기, 꽃꽂이 등](17.8%), 문화예술[악기, 미술, 연극, 무용 등](17.2%), 한국역사(9.3%)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.
[그림 2-1] 희망하는 문화교육
◦ 참여경험과 비교해 보면(참여경험율이 낮아서 일반화할 수는 없지만) 생활문화교육이 이주민에게 가장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.
<표 2-1> 희망하는 문화교육 : 교육참여와 비교
순위 |
문화교육 참여 |
희망하는 문화교육 |
1순위 |
생활문화 |
생활문화 |
2순위 |
한국역사 |
생활취미 |
3순위 |
생활취미 |
문화예술 |
4순위 |
문화예술 |
한국역사 |
◦ 참여하고 싶은 문화교육을 응답자 속성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
- 먼저 참여의사가 없는 응답자군은 농촌, 남성, 40대 이상, 이주노동자, 태국, 몽골 이주민에게서 많았다.
- 생활문화 교육에 대한 욕구는 여성, 비수도권, 농촌, 결혼이주자, 주부(60.2%), 조선족 중국과 베트남 이주민, 150만원이상 소득층에게서 많았다.
- 문화예술 교육에 대한 욕구는 남성, 수도권, 도시, 이주노동자, 2년 미만 거주자, 필리핀 출신 이주민에게서 많았다.
관심 없음 : 농촌(38.2%) > 도시(30.6%), 남성(42.5%) > 여성(18.7%), 40대(37.2%), 50세 이상(38.7%), 이주노동(37.6%) > 결혼이주(17.8%), 태국(52.1%) > 몽골(50.0%) > 비조선족 중국(37.4%) > 조선족 중국(28.4%) > 필리핀(27.6%) > 베트남(23.7%) |
생활문화 교육 : 여성(46.1%) > 남성(5.0%), 비수도권(28.1%) > 수도권(22.2%), 농촌(32.9%) > 도시(23.4%), 결혼이주(50.8%) > 이주노동(11.8%), 조선족 중국(31.1%) > 베트남(30.7%) > 비조선족 중국(26.5%) > 몽골(20.5%) > 태국(9.9%) > 필리핀(7.9%), 150-200만원(35.7%), 200만원 이상(51.4%) |
문화예술 교육 : 남성(21.7%) > 여성(12.2%), 수도권(22.0%) > 비수도권(8.3%), 도시(18.7%) > 농촌(2.6%), 이주노동(21.6%) > 결혼이주(8.0%), 1년 미만(25.2%), 1-2년 거주자(30.0%), 필리핀(52.6%) > 베트남(16.7%) > 태국(14.1%) > 비조선족 중국(10.2%) > 조선족 중국(9.5%) > 몽골(6.8%) |
2) 문화교육 경험
◦ 이주민의 문화교육 경험률은 9.1%였다.
- 분야별로는 생활문화(음식, 요리, 전통예절) 5.5%, 한국역사 2.1%, 생활취미(공예, 사진찍기, 꽃꽂이 등) 1.3% 문화예술(연극, 악기, 미술, 무용 등) 1.1%였다.
[그림 2-2] 이주민의 문화교육 경험
<표 2-2> 문화예술교육 경험 : 내국인과 비교
이주민(통산) |
내국인(통산) | |
문화예술 |
1.1% |
7.7% |
* 내국인자료: 문화체육관광부/한국문화관광연구원, 「2006 문화향수실태조사」 |
◦ 이주민 문화교육 경험률을 응답자 속성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
- 문화교육 경험률은 비수도권, 농촌, 여성, 결혼이주자, 가족 동거자, 주부 등에서 높았다.
- 또한 30대 이하 연령층, 고소득층, 학력이 높을수록 높았다.
- 출신국별로는 태국과 몽골출신 이주민의 교육 참여율이 특히 낮았다.
비수도권(14.3%) > 수도권(4.4%), 농촌(18.2%) > 도시(8.2%), 여성(16.7%) > 남성(1.5%) 결혼이주자(19.5%) > 이주노동자(4.3%), 가족동거자(14.9%), 주부(19.9%), 필리핀(12.1%) > 조선족 중국(10.5%) > 비조선족 중국(6.8%) > 베트남(6.3%) > 태국(2.6%) > 몽골(2.3%) |
3) 문화교육 기관(장소)
◦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는 이주민(9.1%)들은 주로 공공기관(73.8%)에서 교육을 받고 있다. 그 다음으로는 민간교육기관(14.8%), 종교단체(4.9%), 지원단체(3.3%), 기타(3.3%)의 순서로 나타났다.
[그림 2-3] 문화교육 기관(장소)
◦ 교육경험자가 많지 않아서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다고 보기는 힘들지만 응답자 속성별로 약간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.
- 거의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공공기관 교육 경험이 가장 많았으며, 이 같은 경향은 특히 여성, 결혼이주민, 가족동거자, 한국어 능력이 낮은 이주민에게서 많았다.
- 민간교육기관, 종교단체, 지원단체 교육 경험은 결혼이주자보다 이주노동자에게서 많은 특성을 보였다.
- 종교단체, 지원단체 교육경험은 여성보다 남성이 많은 특성을 보였다.
공공기관 : 여성(78.8%) > 남성(44.4%), 결혼이주(80.4%) > 이주노동(53.3%), 가족동거자(80.0%), 한국어 능력이 낮은 이주민(중 80.0%, 하 77.8%) |
민간교육기관 : 이주노동(20.0%) > 결혼이주(13.0%) |
종교단체 : 남성(11.1%) > 여성(3.8%), 이주노동(13.3%) > 결혼이주(2.2%) |
지원단체 : 남성(22.2%) > 여성(0.0%), 이주노동(13.3%) > 결혼이주(0.0%) |
3. 여가활용
1) 모국과 비교
◦ 한국에서의 문화와 여가생활 정도를 모국에 있을 때와 비교해보면, 모국에서보다 ‘적게 한다’는 응답이 66.3%(훨씬 적게 함 37.1%+약간 적게 함 29.2%)로 ‘비슷하다’(24.1%), ‘많이 한다’(9.6%; 훨씬 많이 함 1.5%+약간 많이 함 8.1%)보다 많았다. 5점 만점(훨씬 많이 한다)으로 환산하면 2.03점으로 문화와 여가생활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.
[그림 3-1] 문화와 여가생활 정도 : 모국과 비교
◦ 모국과 비교하여 문화와 여가생활 정도를 응답자 속성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.
- 전체적으로 2점(약간 적게 함)와 1점(훨씬 적게 함)에 걸쳐 있어서 전반적으로 문화와 여가생활을 모국에서보다 훨씬 못하고 있었다.
- 특히 문화와 여가생활이 줄어든 응답자집단은 남성, 수도권, 도시, 이주노동자, 필리핀, 태국이주민 등이다.
- 또한 혼자사는 이주민(1.77점), 거주기간이 짧을수록, 학력이 높을수록, 소득이 적을수록 문화와 여가생활이 많이 줄어든 것으로 조사되었다.
▪성별 : 여성(2.19점) > 남성(1.88점) ▪지역별 : 비수도권(2.48점) > 수도권(1.78점), 농촌(2.43점) > 도시(1.98점), ▪이주형태별 : 결혼이주(2.36점) > 이주노동 (1.87점) ▪출신국별 : 몽골(2.48점) > 베트남(2.26점) > 조선족 중국(2.09점) > 비조선족 중국(2.04점) > 태국(1.80점) > 필리핀(1.57점) |
2) 여가생활의 어려움
◦ 여가생활에 불만인 이주민(전체의 53.6%)을 대상으로, 여가생활 불만 이유를 질문한 결과, 시간부족(39.6%)과 경제적 부담(28.8%)이라는 응답이 많았다. 그 다음으로는 한국말 익숙하지 않음(10.3%), 적당한 취미 없음(4.1%), 여가정보부족(3.4%), 건강/체력부족(3.0%)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.
[그림 3-2] 여가생활 불만이유
◦ 여가생활 불만이유를 내국인과 비교해 보면, 내국인은 경제적 부담이 58.5%, 시간부족이 24.6%였으나, 이주민은 시간부족(39.6%)이 경제적 부담(28.8%)보다 높은 특성을 보였다.
<표 3-1> 여가생활 불만이유
여가활동 불만이유 |
이주민 |
내국인 |
시간부족 |
39.6% |
24.6% |
경제적부담 |
28.8% |
58.5% |
한국말이 익숙하지 않아서 |
10.3% | |
적당한 취미가 없어서 |
4.1% |
2.9% |
여가정보 부족 |
3.4% |
1.4% |
건강,체력부족 |
3.0% |
6.5% |
교통혼잡 |
2.5% |
2.7% |
여가를 함께 즐길 사람이 없어서 |
2.3% |
1.4% |
시선부담 |
2.3% | |
여가시설 부족 |
1.8% |
1.9% |
가족/지인의 만류 |
1.4% | |
희망프로그램 부족 |
0.2% | |
기타 |
0.2% |
0.2% |
계 |
100.0% |
100.0% |
* 내국인자료 출처: 통계청 「2007 사회통계조사」 중 ‘문화와 여가부문’ |
◦ 여가생활 불만이유에 대한 응답자 속성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다.
- 대체적으로 시간이 부족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, 특히 수도권, 도시, 30대, 3-4년 거주자, 필리핀, 태국 출신 이주민, 200만원 이상 고소득층에서 많았다.
- 경제적 부담이란 응답은 50세 이상, 이주노동, 1년 미만 거주자, 조선족 중국출신, 100만원 미만 저소득층에서 많았다.
- 한국말이 익숙하지 않다는 응답은 비수도권, 농촌지역, 연령이 낮을수록 많았다.
시간부족 : 수도권(48.1%) > 비수도권(18.9%), 도시(41.3%) > 농촌(20.0%), 30대(49.3%), 3-4년 거주자(48.1%), 200만원 이상(51.1%), 필리핀(60.3%) > 태국(57.9%) > 베트남(45.1%) > 비조선족 중국(44.4%) > 몽골(40.0%) > 조선족 중국(30.0%) |
경제적 부담 : 50세 이상(47.4%), 이주노동(32.2%) > 결혼이주(17.5%), 1년 미만 거주자(35.4%), 조선족(40.6%), 50만원 미만(59.0%), 50-100만원(38.6%) |
한국말이 익숙하지 않아서 : 비수도권(16.5%) > 수도권(7.7%), 농촌(20.0%) > 도시(9.5%) |
3) 희망하는 여가활동
◦ 이주민이 희망하는 여가활동으로는 여행이 78.5%로 가장 많았고, 그 다음으로 사교 관련일(34.3%), 자기개발(30.3%), 취미활동(27.4%), 스포츠활동(15.2%), 휴식(12.6%), 문화예술관람(12.1%), 종교 활동(7.4%)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.
[그림 3-3] 희망하는 여가활동
◦ 여가활용 실태와 희망하는 여가활동을 비교해보면, 활용실태에서 7순위인 여행이 희망하는 여가활동에서는 1순위였다.
- 사교관련 일은 활용실태에서 3순위였으나, 희망하는 여가활동에서도 2순위로 나타나 실태와 희망이 모두 높았다.
<표 3-2> 여가활용 실태와 희망하는 여가활동 비교
여가활용 |
백분율(%) |
희망하는 여가활동 |
백분율(%) | |
1순위 |
TV시청 및 비디오(DVD) 시청 |
69.5 (28.8) |
여행 |
78.5 (33.3) |
2순위 |
휴식 |
62.2 (25.8) |
사교관련일 |
34.3 (14.5) |
3순위 |
사교관련일 |
40.7 (16.9) |
자기개발 |
30.3 (12.8) |
4순위 |
가사일 |
31.6 (13.1) |
취미활동 |
27.4 (11.6) |
5순위 |
종교활동 |
19.4 (8.0) |
스포츠활동 |
15.2 (6.4) |
6순위 |
창작적 취미 |
3.4 (1.4) |
휴식 |
12.6 (5.3) |
7순위 |
여행 |
3.2 (1.3) |
문화예술관람 |
12.1 (5.1) |
8순위 |
컴퓨터게임, 인터넷검색 등 |
3.0 (1.2) |
종교활동 |
7.4 (3.1) |
9순위 |
봉사활동 |
2.1 (0.9) |
TV시청 및 비디오 시청 |
5.6 (2.4) |
10순위 |
자기개발 |
1.7 (0.7) |
컴퓨터게임, 인터넷검색 등 |
5.0 (2.1) |
11순위 |
스포츠활동 |
1.7 (0.7) |
봉사활동 |
3.6 (1.5) |
12순위 |
기타 |
1.2 (0.5) |
스포츠관람 |
2.3 (1.0) |
13순위 |
스포츠관람 |
0.8 (0.3) |
가사 |
1.3 (0.6) |
14순위 |
문화예술관람 |
0.7 (0.3) |
기타 |
0.4 (0.2) |
계 |
241.2(100.0) |
236.0(100.0) | ||
* 괄호는 중복응답 문항인 여가활용 실태와 희망하는 여가활동을 비교하기 위하여 응답 수 기준으로 재정리한 것임. |
◦ 앞으로 하고 싶은 여가활동에 대한 응답자 속성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다.
- 대부분의 응답자 집단에서 여행을 하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.
- 수도권, 도시지역, 남성, 이주노동자, 태국, 몽골출신 이주민의 스포츠 활동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.
- 비수도권, 농촌지역, 소득이 50-100만원인 경우, 사교 관련 일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.
- 결혼이주자, 베트남, 필리핀출신 이주민의 자기개발 응답 비율이 비교적 높았다.
- 200만원 이상 고소득층은 컴퓨터게임/인터넷검색과 자기개발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반면 스포츠 활동이라는 응답은 다소 적었다.
스포츠 활동 : 수도권(19.8%) > 비수도권(6.6%), 도시(16.0%) > 농촌(6.6%), 남(27.3%) > 여(1.3%), 이주노동(19.6%) > 결혼이주(5.7%), 몽골(43.2%) > 태국(28.2%) > 비조선족 중국(9.5%), 조선족 중국(8.4%) 소득 200만원 이상이 4.1%로 비교적 낮음 |
사교 관련일 : 비수도권(50.5%) > 수도권(25.6%), 농촌(57.9%) > 도시(31.9%), 소득 50-100만원(51.8%) |
자기개발 : 결혼이주(39.4%) > 이주노동(26.1%), 필리핀(48.7%), 베트남(47.4%) > 몽골(22.7%), 조선족 중국(20.9%) 소득 200만원 이상이 37.8%로 비교적 높음 |
컴퓨터게임/인터넷검색 : 소득 200만원 이상이 12.8%로 비교적 높음 |
4) 여행하고 싶은 장소
◦ 이주민들이 희망하는 여행지는 섬이 35.9%로 가장 많았다.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바다/해수욕장(15.6%), 도심(쇼핑, 시장, 유명지)(11.6%), 역사유적지(10.9%), 문화예술 행사지(8.9%), 놀이공원/동물원(8.4%), 산/산림욕장(7.5%)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.
[그림 3-4] 희망하는 여행 장소
◦ 거의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섬을 가장 희망하였는데,
- 특히 수도권, 도시, 혼자 사는 이주민들이 섬 여행을 희망하였고, 국적별로는 비조선족 중국(28.1%)보다 다른 국가출신 이주민들이 섬여행을 희망하는 특성을 보였다.
- 도심(쇼핑, 시장, 유명지)관광 욕구는 비수도권, 모국인 친구 동거자, 초졸 이하 학력자, 소득 50-100만원 등에서 많았다.
- 또한 역사유적지 관광욕구는 상대적으로 비수도권, 농촌, 한국인 친구, 다른 외국인친구 동거자, 50만원 미만 저소득층에서 많았다.
- 문화예술행사지 관광욕구는 상대적으로 비수도권, 농촌, 다른 외국인친구 동거자 등에서 많았다.
섬 : 수도권(45.9%) > 비수도권(18.0%), 도시(37.6%) > 농촌(19.7%), 혼자 거주(43.9%), 필리핀(46.6%) > 태국(46.4%) > 베트남(43.9%) > 몽골(40.5%) > 조선족 중국(36.2%) > 비조선족 중국(28.1%) |
도심(쇼핑, 시장, 유명지) : 비수도권(16.6%) > 수도권(8.8%), 모국인 친구 동거자(17.5%), 초졸 이하 학력자(21.2%), 소득 50-100만원(19.1%) |
역사유적지 : 비수도권(16.3%) > 수도권(7.9%), 농촌(21.1%) > 도시(9.8%), 한국인 친구 동거자(30.0%), 다른 외국인 친구 동거자(28.6%), 50만원 미만(35.2%) |
문화예술행사지 :비수도권(15.2%) > 수도권(5.4%), 농촌(22.4%) > 도시(7.5%), 다른 외국인친구 동거자(42.9%) |
4. 이주민 차별
1) 이주민(가족) 차별
◦ “한국사회에서 이주민(이주민 가족)에 대한 차별이 고용, 교육 같은 생활전반에 걸쳐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지”를 질문한 결과, ‘심하다’는 의견이 79.4%로 나타났다(조금 심하다 53.3%+심하다 19.2%+매우 심하다 6.9%). 반면에 ‘차별 없다’는 의견은 20.6%(전혀 없다 0.5%+별로 없다 20.1%)였다.
[그림 4-1] 이주민(가족) 차별 정도
◦ 차별에 대한 인식을 응답자 속성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
- ‘차별이 없다’(전혀없다+별로없다)는 의견은 상대적으로 비수도권, 농촌, 여성, 결혼이주자, 한국가족 동거자(26.6%), 고소득층(200만원 이상 31.8%)에서 많았다. 한편 출신국별로 ‘차별이 없다’는 의견은 차이가 크지 않았다.
차별이 없다 : 비수도권(32.5%) > 수도권(14.2%), 농촌(34.2%) > 도시(19.3%), 여성(24.7%) > 남성(17.1%), 결혼이주(33.3%) > 이주노동(14.7%) |
- ‘차별이 있다’(조금심하다+심하다+매우심하다)는 의견은 상대적으로 수도권, 도시, 남성, 이주노동자, 필리핀 출신 이주민에게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.
차별이 있다 : 수도권(85.8%) > 비수도권(67.4%), 도시(80.7%) > 농촌(65.8%), 남성(82.9%) > 여성(75.3%), 이주노동(85.4%) > 결혼이주(66.7%), 필리핀(86.8%) > 태국(83.1%) > 베트남(80.7%) > 조선족 중국(79.7%) > 비조선족 중국(77.5%) > 몽골(70.5%) |
2)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시각
◦ “한국사회에서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시각이나 태도는 어떠해야 한다고 생각는지”를 질문한 결과, ‘동등하게 대해야 한다’가 46.4%, ‘다문화사회가 되기 위해 더 배려해야 한다’가 38.1%, ‘약간의 차별은 어쩔 수 없다’가 15.5%의 순으로 나타났다.
[그림 4-2]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시각과 태도
◦ 이주민에 대한 한국인의 시각을 응답자 속성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
- ‘동등하게 대해야 한다’는 의견은 상대적으로 수도권, 도시, 여성, 결혼이주자, 가족 동거자, 모국인 친구 동거자에게서 높았다.
▪지역별 : 수도권(49.1%) > 비수도권(41.3%), 도시(47.3%) > 농촌(37.3%) ▪이주형태별 : 결혼이주자(52.3%) > 이주노동자(43.5%) ▪출신국별 : 몽골(56.8%) > 조선족 중국(53.7%) > 베트남(47.4%) > 비조선족 중국(42.2%) > 태국(36.6%) > 필리핀(35.5%) ▪기타 : 가족 동거자(50.1%), 모국인 친구 동거자(47.8%) |
- ‘더 배려해야 한다’는 의견은 상대적으로 비수도권, 농촌, 이주노동자, 한국인 친구 동거자, 다른 외국인 친구 동거자, 출신국이 필리핀, 태국이주민에게서 높았으며, ‘차별은 어쩔 수 없다’는 의견은 한국인 친구 동거자가 27.3%로 다소 높게 나타났다.
▪지역별 : 비수도권(44.4%) > 수도권(34.7%), 농촌(50.7%) > 도시(36.8%) ▪이주형태별 : 이주노동자(42.0%) > 결혼이주자(29.9%) ▪출신국별 : 태국(53.5%) > 필리핀(47.4%) > 비조선족(40.1%) > 베트남(38.6%) > 조선족(32.1%) > 몽골(22.7%) ▪기타 : 한국인 친구 동거자(63.6%), 다른 외국인 친구 동거자(57.1%) |
5. 문화적 어려움 및 정부에 바라는 점
1) 한국인의 모국문화 존중
◦ “한국 사람들은 (이주민)모국의 문화를 충분히 존중한다”는 견해에 대해서는 ‘그렇지 않다/존중하지 않는다’는 응답이 36.0%(전혀 그렇지 않다 7.0%+거의 그렇지 않다 28.9%)로 ‘그렇다/존중한다’는 응답(27.0%; 매우 그렇다 3.8%+약간 그렇다 23.2%)보다 많았다. 한편, ‘보통이다’는 의견은 37.1%였으며, 이를 5점 만점(충분히 존중)으로 환산하면 평균 2.87점으로 보통(3점)에 미치지 못하였다.
[그림 5-1] 한국인의 모국문화 존중 정도
◦ 한국인의 (이주민) 모국 문화 존중에 대한 의견을 응답자 속성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.
- 대체로 보통(3점) 이하의 의견을 제시하였고, 응답자 속성별 차이는 크지 않았으나, 부정적인 의견은 상대적으로 수도권(2.72점)과 도시지역(2.83점)에서, 필리핀(2.46점) 이주민에게서 많았다.
비수도권(3.15점) > 수도권(2.72점), 농촌(3.28점) > 도시(2.83점) 몽골(3.23점) > 베트남(2.92점) > 비조선족 중국(2.90점) > 태국(2.89점) > 조선족 중국(2.85점) > 필리핀(2.46점) |
2) 한국인의 다문화교육 필요성
◦ 한국인에 대한 다문화교육 필요성은 ‘그렇다/교육필요’(55.8%)가 ‘그렇지 않다/교육 불필요’(8.4%)보다 훨씬 많았다. 한편 ‘보통이다’는 35.8%였고, 5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평균 2.41점이다. 다문화교육의 필요성이 전혀 없는 상태가 5점인 바, 평균이하의 점수다.
[그림 5-2] 한국인의 다문화교육 필요성
◦ 한국인의 다문화교육 필요성에 대한 의견을 응답자 속성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.
-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보통(3점) 이하의 의견을 제시하였고, 응답자 속성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.
▪이주형태별 : 결혼이주(2.52점) > 이주노동(2.35점) ▪동거유형별 : 가족동거자(2.52점) > 다른 외국인 친구동거자(2.43점) > 모국인 친구 동거자(2.38점) > 한국인 친구 동거자(2.09점), ▪출신국별 : 몽골(2.61점) > 조선족 중국(2.57점) > 베트남(2.52점) > 비조선족 중국(2.35점) > 태국(2.32점) > 필리핀(1.93점) |
3) 이주민의 문화적 어려움
◦ 이주민들이 문화적인 측면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‘한국말이 익숙하지 않음’이 43.2%로 가장 많았고, 그 다음으로는 ‘여가시간 부족’(20.6%), ‘한국의 생활관습 적응이 힘듦’(19.6%), ‘이주민에 대한 부담스런 시선’(13.3%), ‘가족/주변인과 갈등’(2.3%) 순서로 나타났다.
[그림 5-3] 이주민의 문화적 어려움
◦ 문화적 어려움을 응답자 속성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
- ‘한국말이 익숙하지 않음’이란 의견이 거의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가장 많았다. 특이 이 같은 의견은 남성, 20대, 모국인 친구 동거자(57.3%), 베트남, 몽골, 필리핀, 비조선족 중국 이주민에게서 많았다. 또한 거주기간이 짧을수록, 한국어 능력이 낮을수록, 그리고 학력이 높을수록 이런 의견이 많았던 반면, 지역적 차이는 없었다.
▪지역별 : 수도권(42.1%) ≒ 비수도권(45.3%), 도시(43.2%) ≒ 농촌(43.4%) ▪성별 : 남(49.1%) > 여(36.6%) ▪출신국별 : 베트남(74.6%) > 몽골(72.7%) > 필리핀(61.8%) > 비조선족 중국(56.5%) > 태국(47.9%) > 조선족 중국(11.3%) |
- ‘여가시간 부족’이라는 의견은 수도권, 도시, 40대 이상, 이주노동자, 거주기간이 길수록,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, 학력이 낮을수록, 그리고 조선족 중국(29.7%)과 태국출신(32.4%) 이주민에게서 많은 특성을 보였다.
▪지역별 : 수도권(24.8%) > 비수도권(12.8%), 도시(21.6%) > 농촌(10.5%) ▪연령별 : 20대(11.7%), 30대(17.5%), 40대(28.7%), 50세 이상(39.0%) ▪이주형태별 : 이주노동(24.2%) > 결혼이주(13.0%) ▪성별 : 남성(21.8%) > 여성(19.2%) |
- ‘한국의 생활관습 적응이 힘듦’이란 의견은 비수도권, 농촌, 여성, 결혼이주자, 가족 동거자, 거주기간이 길수록,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, 조선족, 200만원 이상 고소득층에게서 상대적으로 많았다.
▪지역별 : 비수도권(24.9%) > 수도권(16.7%), 농촌(30.3%) > 도시(18.5%) ▪성별 : 여(27.3%) > 남(12.8%) ▪이주형태별 : 결혼이주(31.7%) > 이주노동(14.0%) ▪기타 : 가족 동거자(27.6%), 조선족(32.8%), 고소득층(200만원 이상 45.3%) |
- ‘이주민에 대한 부담스런 시선’이라는 의견은 40대 이상, 한국인 친구 동거자, 한국어 능력이 높을수록, 조선족에게서 상대적으로 많았다.
40대(21.3%), 50세 이상(25.2%), 한국인 친구 동거자(36.4%), 조선족 중국(21.5%) |
4) 이주민정책 평가
◦ “한국정부는 다문화와 이주민에 대한 정책을 의욕적으로 펼치고 있다”는 의견에 대해서 이주민들은 ‘그렇지 않다/부정’이 34.0%(전혀 그렇지 않다 4.1%+거의 그렇지 않다 29.9%)로 ‘그렇다/긍정’이 30.7%(매우 그렇다 9.2%+약간 그렇다 21.5%)보다 약간 많았다. ‘보통이다’는 의견은 35.2%였고, 5점 만점(매우 그렇다)으로 환산하면 평균 3.02점이었다.
[그림 8-1] 이주민정책 만족도
◦ 정부의 다문화 및 이주민 정책평가를 응답자 속성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.
- 전체적으로 응답자 속성별 차이는 크지 않았다.
▪이주형태 : 결혼이주(3.20점) > 이주노동(2.93점) ▪출신국별 : 몽골(3.68점) > 비조선족(3.16점) > 베트남(3.12점) > 태국(3.06점) > 조선족(2.96) > 필리핀(2.47) ▪성별 : 여성(3.11점) > 남성(2.94점) ▪기타 : 한국인 친구 동거자(2.45점), 초졸 이하(2.73점) |
5) 정부지원 문화프로그램
◦ 정부에서 가장 역점을 두고 추진해야 할 이주민 문화프로그램은 한국어교육(46.9%)이 가장 많았고, 그 다음으로는 한국의 생활문화/전통예절 교육체험(20.2%), 모국의 문화예술관람/교육(16.6%), 한국 문화예술교육 및 관람(6.2%), 가족/주변사람 이주민 모국어 교육(5.2%), 한국의 문화예술에 대한 정보제공/가이드북 작성(4.5%)의 순서로 나타났다.
[그림 5-3] 정부지원 필요한 문화프로그램
◦ 정부지원이 필요한 문화프로그램을 응답자 속성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.
- 거의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‘한국어 교육’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. 특히 이러한 응답은 비수도권, 농촌, 결혼이주자, 비조선족, 베트남, 몽골 이주민에게서 많았다. 또한 연령이 어릴수록 ‘한국어 교육’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많았다.
- ‘한국생활문화 전통예절 교육/체험’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여성, 가족동거자, 조선족, 그리고 연령이 높을수록, 거주기간이 길수록, 한국어능력이 높을수록 상대적으로 많았다.
- ‘모국의 문화예술관람/교육’이 필요하다는 응답은 남성, 수도권, 농촌, 이주노동자, 필리핀과 태국 이주민에게서 상대적으로 많았다.
한국어교육 : 비수도권(51.2%) > 수도권(44.6%), 농촌(52.6%) > 도시(46.3%), 결혼이주(55.3%) > 이주노동(42.9%) 다른 외국인 친구 동거자(85.7%), 몽골(68.2%), 비조선족 중국(61.9%), 베트남(61.4%) |
한국생활문화 전통예절 교육/체험 : 여성(23.8%) > 남성(17.1%), 가족동거자(24.0%), 조선족 중국(34.3%) 연령, 거주기간, 한국어능력과 비례 |
모국의 문화예술관람/교육 : 남성(21.4%) > 여성(11.1%), 수도권(22.8%) > 비수도권(5.2%), 도시(17.9%) > 농촌(3.9%), 이주노동 (20.0%) > 결혼이주 (9.5%), 필리핀(38.2%), 태국(26.8%) |
6) 이주민 전용 문화공간(시설)
◦ 이주민을 위한 별도의 문화 공간(시설) 필요성에 대해 ‘필요하다’는 응답이 68.3%(매우 필요 30.2%+약간 필요 38.1%)로 ‘필요 없다’(15.8%; 전혀 필요 없음 9.5%+거의 필요 없음 6.3%)보다 훨씬 많았다. 한편 ‘보통이다’는 15.9%였고, 5점 만점(매우 필요)으로 환산하면 평균 3.73점으로 이주민들이 전용 문화 공간(시설)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.
[그림 5-4] 이주민 전용 문화공간(시설) 필요성
- 이주민 문화전용 공간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응답자 집단에서 필요성을 인지하였으며, 특히 수도권과 도시, 필리핀 이주민들이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었다.
▪지역별 : 수도권(4.05점) > 비수도권(3.13점), 도시(3.81점) > 농촌(2.93점), ▪출신국별 : 필리핀(4.12점) > 베트남(3.88점) > 몽골(3.77점) > 비조선족 중국(3.76점) > 태국(3.70점) > 조선족 중국(3.55점) ▪성별 : 남성(3.85점) > 여성(3.59점) |
※ 새터민 조사 결과(총 102명 별도조사)
1. 새터민의 문화와 여가생활 ◦ 남한에서의 문화와 여가생활 정도를 북한에 있을 때와 비교해보면, 북한에서보다 ‘많이 한다’는 응답이 86.3%로 ‘적게 한다’는 응답(5.9%)보다 훨씬 많았다. 5점 만점(훨씬 많이 한다)으로 환산하면 4.25점으로 새터민의 문화와 여가생활이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.
2. 새터민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와 시각 ◦ 남한사회에서 새터민(가족)에 대한 남한인의 시각이나 태도에 대해 ‘남한사람과 똑같이 대해야 한다’가 53.9%로 가장 많았고, ‘약간의 차별은 어쩔 수 없다’가 25.5%, ‘한민족이므로 더 배려해야 한다’가 20.6%였다.
3. 새터민의 문화적 어려움 : 의사소통의 문제 ◦ 새터들이 문화적인 측면에서 겪는 가장 큰 어려움은 ‘남한말 익숙하지 않음’이 40.2%로 가장 많았고, 그 다음으로는 ‘남한의 생활관습 적응이 힘듦’(29.4%), ‘새터민에 대한 부담스런 시선’(16.7%), ‘여가시간 부족’(7.8%), ‘가족/주변인과 갈등’(2.9%), ‘기타’(2.9%)의 순서로 나타났다. - 언어와 생활관습 등과 관련된 어려움이 70%에 가까워서 남한에서 새터민의 원활한 의사소통이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.
4. 새터민 대상 정책 평가 ◦ “정부는 새터민에 대한 정책을 의욕적으로 펼치고 있다”는 주장에 대해서 새터민들은 ‘긍정/그렇다’가 52.2%로 ‘부정/그렇지 않다’(18.5%)보다 훨씬 많았다. ‘보통이다’는 의견은 29.3%였고, 5점 만점(매우 그렇다)으로 환산하면 평균 3.49점이었다.
5. 정부지원 문화정책: 언어교육, 쌍방향 언어교육 ◦ 정부가 새터민을 위해 역점을 두고 지원해야 할 문화프로그램은 새터민(가족) 대상 언어교육이 34.3%로 가장 많았다. 그 다음으로는 남한의 생활문화 및 전통예절 교육/체험(23.2%), 가족/주변인들에게 새터민 언어[습관] 교육(18.2%), 남한 문화예술 관람/교육(13.1%), 남한 문화예술 정보제공(7.1%), 새터민 또는 북한의 문화예술 관람/교육(2.0%)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. - 새터민(자녀)에 대한 언어교육(34.3%)뿐 아니라 가족/주변인에게 새터민 언어[습관] 교육이 18.2%로 나타나서, 새터민의 원활한 문화생활을 위해서는 쌍방향 언어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.
6. 새터민을 위한 별도의 문화공간(시설) ◦ 새터민을 위한 별도의 문화 공간(시설) 필요성에 대해 ‘필요하다’는 응답이 68.6%로 ‘필요 없다’(2.0%)보다 훨씬 많았다. 한편 ‘보통이다’는 29.4%였고, 5점 만점(매우 필요)으로 환산하면 평균 4.14점으로 나타나서, 새터민들은 전용 문화 공간(시설)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고 있었다. |
'이주문제자료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임금 제때 못받는 이주노동자 -2년새 갑절' (0) | 2008.10.05 |
---|---|
다문화 이해 실태조사-다문화가정 편견의 벽 높아 (0) | 2008.10.05 |
법무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 이수제 관련 자료 (0) | 2008.08.07 |
이주노동자의 건강실태 및 건강관리 방안 연구 (0) | 2008.08.07 |
유엔 이주노동자권리협약(국문) (0) | 2008.08.07 |